전체 글50 [글쓰기 연습] 비평글 쓰기 1980년대 노동 문학 Part 3 운동으로서의 문학, 1980년대 노동문학 - 정화진 「쇳물처럼」, 방현석 「새벽출정」을 중심으로 2) 방현석의 「새벽출정」 방현석의 「새벽출정」은 실제로 인천의 주안 77 공단에 있는 '세창물산'에서 1989년 6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전개되었던 위장 폐업 분쇄 투쟁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담고 있습니다.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와 실제 사건이 긴밀히 연결된 작품으로 1980년대의 노동자들이 지니고 있던 인간적 삶에 대한 갈망이 얼마나 뜨거웠는지를 잘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또한 치밀한 구성과 탄탄한 묘사력을 바탕으로 노동 현실과 노동자의 운명을 깊이 천착하여 노동자의 당파성과 저항의 서사를 뚜렷이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세광물산 여성 노동자들이 100일이 넘는 장기농성으로 하나 둘 직장을 떠나가는 장면.. 2022. 5. 25. [글쓰기 연습] 비평글 쓰기 1980년대 노동 문학 Part 2 운동으로서의 문학, 1980년대 노동문학 - 정화진 「쇳물처럼」, 방현석 「새벽출정」을 중심으로 1) 정화진의 「쇳물처럼」 발표 당시 '노동자 투고 작품'이라는 표식을 달았던 「쇳물처럼」은 단편임에도 불구하고 1980년대 중후반의 시대적 분위기를 날카롭게 포착하고 있습니다. 청년 노동자가 아닌 장년 노동자 천 씨를 화자로 내세웠다는 점이 특징적이며,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시간 배열을 사용해 단순히 현장 보고 형식의 흐름이 아닌 소설 기법적 완성도도 높은 작품입니다. 「쇳물처럼」은 "보너스 한 푼 없는" 인천의 한 주물공장, '태양주물'에서 벌어지는 파업 과정과, 파업에 이르기까지의 내용을 다룹니다. 그 과정 속에서 주요 화자인 천 씨의 시선으로 노동자들의 세세한 감정들을 사실적으로 보여줍니다. 그리고 주.. 2022. 5. 25. [글쓰기 연습] 비평글 쓰기 1980년대 노동 문학 Part 1 운동으로서의 문학, 1980년대 노동문학 - 정화진 「쇳물처럼」, 방현석 「새벽출정」 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1980년대는 한국 문학사에서 유례가 없는 문학 운동의 시대였습니다. 그리고 그 중심에 실천 지향적인 노동문학이 있었습니다. 이 시기에 운동으로서의 문학이 사회 정치적으로 가장 위상을 떨칠 수 있었던 배경에는 70년대부터 80년대까지 이어진 혁명적 조건들이 밑바탕에 깔려있습니다. 70년대의 급격한 산업화가 가져온 기형적 성장은 유신체제라는 사회적 통제와 맞물려 다양한 사회적 모순을 만들어냈습니다. 그러한 산업화의 반동으로 가장 심각했던 갈등은 사회 계층 간의 갈등이었고, 그 최대 희생자는 농업과 농촌 그리고 농민이었습니다. 공업 우선 정책으로 농촌이 낙후되자 소외된 농민들은 대도시에서의 새 출.. 2022. 5. 24. [문학 이론] 르네 지라르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 Part 2 르네 지라르 요약 Part 2 소설 기법의 문제 스탕달은 욕망은 자연발생적이라고 정의합니다. 그리고 욕망을 전심전력으로 충족하기 위해 힘쓰는 사람을 귀족이라고 정의했습니다. 여기에서 귀족은 열정과 동의적인 의미로 쓰입니다. 하지만 혁명이 일어나 그들이 가진 특권을 부르주아 계층이 향유하게 되면서, 왕에게로 향하던 외면적 간접화는 다수에 대한 내면적 간접화가 되어버리고, 자신의 위계와 품성의 불일치로 인해 귀족들은 몰락하게 됩니다. 이중 간접화로 인해 발생하는 언어의 변질은 소설가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스탕달의 소설에서는 이 변질이 초기에 머무릅니다. 그의 소설 속 욕망하는 주인공은 형이상학적으로 욕망하는 사람들 속에서 홀로 열정적으로, 또 자발적으로 등장합니다. 하지만 세르반테스의 의 경우에는 정확히 그.. 2022. 5. 24. [문학 이론] 르네 지라르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 Part 1 르네 지라르 요약 Part 1 삼각형의 욕망 르네 지라르는 욕망하는 주체와 욕망의 대상 사이의 관계를 기존의 직선 구조에서 중개자를 추가한 삼각형의 모습으로 설명합니다. 주체가 스스로 형이상학적 욕망을 발생시킬 수 없을 때, 그들은 자신이 모방할 중개자를 필요로 한다는 것입니다. 르네는 그 과정을 간접화라고 칭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간접화는 외면적 간접화와 내면적 간접화로 나뉩니다. 주체와 중개자 간의 경쟁이 존재하지 않는 관계가 외면적 간접화입니다. 이는 작품 나 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에서처럼 중개자를 경쟁 상대로 여기는 관계가 내면적 간접화입니다. 세르반테스나 플로베르는 외면적 간접화의 대표적 작가이며, 스탕달, 프루스트, 도스토예프스키는 내면적 간접화를 비중 있게 다루는 작가입니다. 외면적.. 2022. 5. 24. [글쓰기 연습] 비평글 쓰기 <장수산 1 외 4편> Part 3 정지용 「장수산 1」외 4편 3-2. 정지용의 시 세계 「白鹿潭」 위 시는 총 아홉 단계로 구성된 장시입니다. 1연은 “뻑국채 꽃키”가 점차 낮아지는 생태로 산정에 가까워져가는 상황을 그리고 있습니다. 1연에서 별이 켜드는 즈음 기진한 그가 2연에서 “암고란환약巖古蘭丸藥” 같은 열매로 목을 축이고 다시 일어섭니다. 3연으로 향하여 바라보는 백화 나무는 “백화白樺 옆에서 백화白樺가 촉루髑髏가 되기까지 산다. 내가 죽어 백화白樺처럼 흴것이 숭없지 않다”와 같이 죽음조차도 자연현상으로 볼 만큼 그 감정적 요소를 모두 배제하고 있습니다. 4연~6연에서는 귀신도 무서워하는 “한모롱이”, “해발육천척海拔六千呎우”에 작자는 이릅니다. 그곳에서 “말”이 “말”끼리, “소”가 “소”끼리 사는 모습을 봅니다. 어쩌다 어미.. 2022. 5. 24.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