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0

[글쓰기 연습] 비평글 쓰기 <장수산 1 외 4편> Part 2 정지용 「장수산 1」외 4편 3-1. 정지용의 시 세계 정지용 시의 가장 큰 특징은 감각적인 언어 사용과 주관적 감정의 절제를 들 수 있습니다. 그의 시는 1930년대 중반 빠져있던 종교적 시들을 제외하면 거의 일관되게 시적 대상으로서의 자연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그의 시가 종래의 서정시와 본질적으로 다른 점은 자연을 통해 자신의 주관적인 정서와 감정을 토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면서 자연에 대한 감각적인 인식 그 자체를 언어를 통해 새롭게 질서화한다는 점입니다. 정지용의 시 세계는 크게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925년경부터 1933년까지의 감각적인 이미지즘의 시, 1933년 「불사조」이후 1935년경까지의 가톨릭 신앙에 바탕을 둔 종교적인 시, 그리고 「옥류동」(193.. 2022. 5. 24.
[글쓰기 연습] 비평글 쓰기 <장수산 1 외 4편> Part 1 정지용 「장수산 1」외 4편 1. 작가 소개 정지용 시인은 1902년 6월 20일 충청북도 옥천 하계리에서 태어났습니다. 17세 때인 1918년,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고 재학 중 박팔양 등과 동인지 『요람』을 발간하였습니다. 그리고 1919년에 창간된 월간종합지 『서광』에 ‘3인’이라는 소설을 발표했습니다. 1923년 일본 교토의 도시샤 대학 영문과에 입학해 다니던 중 1926년 유학생 잡지인 『학조』 창간호에 ‘카페 프란스’ 등 9편의 시를 발표하며 본격적으로 문단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1929년 대학 졸업 후에는 휘문고등보통학교의 영어과 교사로 부임하여 해방이 될 때까지 재임했습니다. 1930년에는 박용철, 김영랑, 이하윤 등과 함께 동인지 『시문학』을 발간하였고, 1933년에는 순수문학.. 2022. 5. 23.
[글쓰기 연습] 한국 페미니즘 문학에 대한 짧은 생각 한국 페미니즘 문학에 대해서 : 최은영이 그리는 감정의 결 근래 몇 년 동안 한국 문단에서는 페미니즘 서사가 압도적일 정도로 선두를 달리고 있었습니다. 이같은 페미니즘의 대대적인 조명은 문학에서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인 부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는 말할 것도 없이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었던 미투 운동의 영향이 클 것입니다. 하지만 패미니즘이 왜 어째서 지금 이렇게까지 대두되었을까. 여성에 대한 폭력에 저항하는 페미니즘 운동은 그 개념이 정립되고부터 꾸준히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지금, 현재만큼 압도적인 지지를 받은 적은 없었습니다.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공고하게 쌓여온 남녀의 위계 개념은 스스로가 깨어있다 생각하는 사람들에게조차 미세한 잔가지를 드리우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바닥을 알.. 2022. 5. 23.
[문학 이론] 이상섭 <문학 연구의 방법> Part 2 이상섭의 요약 Part 2 제5장 신화 비평의 방법 2. 신화 비평의 기본 전제 (2) 신화 비평과 개별 작가 신화 비평에서는 개별 작품을 만드는 작가를, 작품을 조작할 수 없는 존재로 봅니다. 작품을 되도록 손상시키지 않고 제 모습 그대로 생산하는 게 작가의 책임이라고 생각합니다. 신화비평에서 작가의 개인성은 그의 개인적 양상을 띤 , 즉 그의 정신 속에 구성되어 있는 상징들의 체계로써 기능할 뿐입니다. (3) 장르의 이론 신화 비평에서 작가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장르입니다. 장르란, 진화론에서 최고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종류의 개념과 비슷합니다. 이는 신화 비평이 그만큼 진화론에 크게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줍니다. 무한히 많은 개별 작품들은 유한한 몇 개의 장르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장르는.. 2022. 5. 23.
[문학 이론] 이상섭 <문학 연구의 방법> Part 1 이상섭의 요약 Part 1 제5장 신화 비평의 방법 신화 비평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케임브리지 대학을 중심으로 한 인류 학파의 연구 성과에서 자극을 받아 일어났다고 합니다. 케임브리지 인류학파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제임스 프레이저1)가 있습니다. 그는 자신의 저서 『황금가지』에서 신화가 단순한 미신이나 허황된 이야기가 아니라고 말합니다. 그는 신화란, 과거와 지금, 동서양을 통틀어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는 공통된 기능이라고 말합니다. 인간이 신이나 자연을 섬기기 위해 고대부터 해왔던 행위, 즉 제식(祭式, ritual, 제사)이 이야기의 형태로 나타난 것이 신화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풍요제2)의 형태와 풍요제와 관련된 신화가 세계 어디서든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는 사실은 문화인류학의 입장에서 보.. 2022. 5. 23.
[글쓰기 연습] 비평글 쓰기 <새의 시선> Part 2 새의 시선과 마주하기 - 정찬 「새의 시선」 - 2-2. 새의 시선과 마주하기 “사람에게 일상적 자아만이 있는 게 아니잖습니까. 일상적 자아보다 더 순수하고 깊은 자아가 있지요. 일상적 자아가 진실을 싫어하고 끔찍해 한다면, 다른 자아는 진실을 품지요.” ‘박민우’가 괴로운 것은 ‘새’가 되고 싶은 자아와 불길을 견디지 못하는 자아(“일상적 자아”)가 충돌하기 때문입니다. 두 가지 자아가 충돌하지 않는다면 특별히 괴로워할 이유가 없습니다. ‘박민우’의 동생 ‘박윤서’는 “일상적 자아”가 확고한 사람입니다. ‘박윤서’는 의지할 가족이라곤 오빠인 ‘박민우’뿐인데도 그의 변화나 심리에 깊이 다가가려 하지 않습니다. 마음이 불편해지기 때문입니다. 특전사 동기인 “윤기훈”의 경우는 “일상적 자아”와 “순수하고 깊.. 2022.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