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쓰기34

글을 쉽게 쓰는 방법 <목적과 타깃 설정> 글을 쉽게 쓰는 방법; 목적과 타깃 설정 목표가 있어야 계획도 짤 수 있는 법이다. 지난 포스팅에서 글쓰기는 선천적 재능보다 후천적 노력에 따라 그 실력이 달라진다고 했습니다. 글의 완성도는 앉아서 고민한 시간과 비례합니다. 오래 고민한 만큼 좋은 글이 나오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첫 포스팅에서도 말했듯이 우리는 인간의 문명이 발전한 이래 가장 정신없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러니 글쓰기를 할 때도 준비단계부터 선택과 집중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글쓰기의 주제를 정했다면 다음은 주제와 잘 어울리는, 내 글의 내용을 채워줄 자료를 찾아야 합니다. 내 생각으로만 글 전체 내용을 채운다는 게 생각만큼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럴 때 내 글을 더 논리적으로 보이게 하는 자료 혹은 내 이야기에 생동감을 보태줄 .. 2022. 5. 13.
글을 쉽게 쓰는 방법 <주제 만들기> 글을 쉽게 쓰는 방법; 주제 만들기 글쓰기는 후천적 계발 능력이다. 우리는 보통 어느 정도 재능을 타고나야 글을 잘 쓴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감성의 차이, 센스의 차이는 분명 존재합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글이라는 것은 선천적 재능보다는 후천적 노력으로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했듯이 '엉덩이 힘'을 얼마나 썼느냐에 따라 글의 질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미리부터 겁먹지 말고 차근차근 계발해 나가 봅시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본격적인 글쓰기에 들어가기 전 단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옥한 땅을 만들어 작물이 건강하게 자라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땅 고르기 단계, 글쓰기의 사전단계! 그중에서도 가장 먼저 선행돼야 할 주제 만들기부터 알아보겠습니다. 1. 주제 문장 만들기 글쓰기.. 2022. 5. 2.
글을 쉽게 쓰는 방법 <글쓰기는 왜 어려울까?> 글쓰기가 왜 어려운 걸까? 옆자리 사원은 부럽게도 기획서를 쓰는데 하루가 채 걸리지 않고, 어제 함께 게임으로 밤을 지새운 동기가 얄밉게도 다음날 과제 리포트를 떡하니 제출하기도 하며, 부업으로 블로그를 한다는 친구는 놀랍게도 몇 시간 만에 열 개가 넘는 포스팅을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어째서인지 '나'는 그 글쓰기라는 행위가 막막하기만 합니다. 글쓰기의 중요성과 방법론은 차고 넘치는데 왜 '나'는 그것들을 봐도 적용을 잘하지 못할까. 그렇게 대부분 글짓기, 작문하면 지레 겁을 먹곤 합니다. 과정은 고통스럽고, 결과는 혼란스러우니 역시 창작은 재능 있는 사람들이나 하는 거라며 쉽게 포기합니다. 하지만 따지고 보면, 포기하기 싫어도 포기해야만 하는 시대인지도 모릅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너무나 많은 것을 배.. 2022. 5. 1.
쉽고 빠르게 쓰는 대학 리포트 3 <글감을 모으자!> 리포트를 조금 더 빨리, 전보다 완성도 있게 쓰는 방법! 첫 번째, 출제자(교수자)의 의도를 파악하자! 두 번째, 나만의 형식을 구축하라! 오늘은 대망의 마지막, 나만의 멀티소스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3. 생각을 정리해서 모아라! 말 그대로 내 생각을 정리해서 모아 두라는 말입니다. 일기와는 조금 다른 개념으로 그날의 이야기나 감상만이 아닌 부지불식간에 떠오르는 모든 생각들을 연관되는 것들끼리 묶어서 모으는 것입니다. 친구들과의 대화에서 재미있었던 화제, 에피소드, 고민 또는 길을 가다 문득 궁금해진 단어, 현상, 기억 혹은 인터넷에서 흥미롭게 읽은 사연, 사건, 이슈 그리고 다양한 사람들에 대한 기록 등등. 살아가면서 매 순간 끊임없이 하고 있는 그 생각이라는 것을, 그 순간 떠올렸다가 휘발.. 2022. 4. 18.